풍수(風水)의 '풍'(風)은 기(氣)의 흐름을 말하는 것으로, 기의 흐름은 시각적으로는 볼 수가 없으며 촉감으로서만 느낄 수 있으므로 옛 성인들은 이를 '바람'으로 표현하였으며, '수'(水)는 땅의 혈(血)로서 지기(地氣)의 누설을 막고 이를 조절하고 조화를 부림으로써 '물'로 표현하여 이를 합하여 "풍수(風水)"라고 명명하지 않았나 미루어 본다.
풍수지리학이란 인간이 자연과 더불어 조화롭게 살아가는 자연친화적 학문으로 인간생존의 근본이 되는 땅을 분석하고 평가 하는 학문이라고 말할 수 있으나, 풍수지리학이 무엇이냐고 자세히 물어보면 이를 연구한 사람도 그 실상에 대해서 쉽게 말문을 열지 못할 것이다. 그것은 풍수지리학의 이론 자체가 일반인이 이해하기에 어렵고 이를 적용하는 사람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정확히 파악하기 보다는 피상적이고 추상적인면만을 주로 보아왔기 때문이다.
풍수지리학에서 명당터는 산진수회(山盡水回) 하고 환포장풍(環抱藏風)된 국(局)에 혈장(穴莊)이 형성되는 곳, 즉 산진처(山盡處)에 지기(地氣)가 응결(凝結)된곳에 강물이 궁체(弓體)로 휘감고, 청룡 백호가 환포장풍되어 지기의 누설방지와 외부의 흉살방어(凶殺防禦)로 보호된 국내(局內)에 혈장이 형성되는 곳이다.
세계의 4대 문명발상지도 바로 이러한 곳인 큰 강의 하구(河口)에서 발달되었던 것이다.이곳은 수류(水流) 이용으로 교통이 편리하고 땅이 비옥하였기에 문명이 발달된 곳이라고 학교에서 지리시간에 배웠으나, 실은 가장 중요한 동기는 산진수회하고 환포장풍된 장소인 길지였기 때문에 문명의 발상지가 되었던 것이다.
우리나라의 한강과 대동강을 끼고 있는 서울과 평양도 대단한 명당터다, 그래서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지가 된것이다.
땅의 성격에 맞는 음양오행의 꽃
꽃나무는 땅의 기운과 꽃의 색깔이 음양오행(陰陽五行)으로 서로 상생(相生)인가 혹은 상극(相剋)인가를 비교하여 결정한다.상극은 피하고 상생의 꽃나무를 선택한다.먼저, 땅의 기운을 판단할 때는 수가 최종적으로 빠져 더 이상 그 땅의 지형과 지질적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지점의 방위를 판단하여 그 땅의 성격을 파악한다.
풍수적인 땅의 성격이 파악되면, 그 땅의 성격에 맞는 꽃 색깔이 정해진다. 음양오행상 목의 기운이 강한 땅은 청색, 화의 기운이 강한 땅은 적색, 금의기운이 강한 땅은 백색, 수의 기운이 강한 곳은 흑색이다.여기서 오행의 상생이란 수→목→화→토→금→수→목의 관계이고,상극은 수→화→금→목→토→수의 관계이다. 따라서 땅의 기운이 수인 경우는 꽃의 색이 푸르고 ,검고(석물),흰 것은 상생의 관계나 누런 것은 상국이라 흉하다.
목의 경우 검거나, 푸르거나, 붉은 것은 상생이고, 누렇거나 흰색은 상극이라 흉하다. 화의 경우 푸르거나 붉거나 누런색은 상생이나 검거나 흰색은 상극이라 흉하고 금의 경우 누렇거나 희거나 검은 것은 상생이나 프루거나 붉은것은 흉하다.
땅의 기운이 쇠악하거나, 살기가 침입하는 경우 그리고 주변에 흉한 시설물이 있는 경우는 지기를 보충하거나 방살(放殺)의 지혜를 기울여 살기 좋은 집으로 바꾼다. 지기가 쇠약한 경우는 성토한 낮은 조산을 만들어 집 안에 생기를 키워준다.
또 살기가 강한 경우는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키 낮은 나무를 심어 바람을 차단시키고, 주변의 흉한 시설물은 민간 신앙에서 쓰는 방법을 이용해 비보한다, 거북은 심장생의 하나로 장수와 건물의 안전을 기원하며,또 풍수적으로 큰 돌을 집의 네 귀퉁이에 두면 이상한 재앙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 느릅나무를 미방(未方)에 심으면 잡귀가 넘보지 못하고, 느티나무를 신방(申方)에 심으면 도적이 들지 못한다.또 석류나무를 뜰 앞에 심으면 현자가 태어나고, 자손이 번창하여 대길하다고 한다.
기가 잘 순환되도록 하는 방위
단독 전원주택뿐만 아니라 전원 주택단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진입로는 단지 내로 기가 출입하는 주 공간으로 풍수적으론 매우 중요하다. 단지 내에 기가 가장 잘 순환되도록 하는 방위로 주 진입로를 두어야한다. 물론 기존 도로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하지만 아래와 같은 사항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부지 전체를 사람의 몸으로 본 다음, 입과 코의 부위에 해당되는 지점을 주 진입로를 하고 항문에 해당되는 지점을 부 진입로로 한다 . 주 진입로느 주된 도로에서 차가 우회전으로 진입할 수있어야한다.만약 좌회전으로 진입한다면 신호대기에 걸리거나 사고의 위험이 크다.
진입 대문은 그 단지의 얼굴이다. 따라서 주인이 자기 집에 들어간다는 느낌이 들도록 마중의 정이 담긴 문설주와 조명, 조형물이 필요하다.부지의 성격에 따라 상생의 조형물은 다음과같이 설치한다
화기(火氣)가 강하면 해태상을 세워 진압한다.
수기(水氣)가 강하면 조상을 쌓아 토기를 높혀 준다.
목기(木氣)가 강하면 철 대문으로 목기를 체압한다.
금기(金氣)가 강하면 붉은 조명등으로 화기를 높혀 준다.
단지가 들어선 고장마다 역사적 사건이 있고, 전설이 전해진다. 따라서 옛 것을 배우는 테마 공원을 조성하거나 현대식 생활에서 시골의 고향 정취를 맛볼 수 있도록 느티나무나 은행나무 정자 같은 조경을 설계한다.
또 수목도 부지의 기운을 복돋우는 상생의 꽃나무를 식재 배우고 즐기는 조경으로,수세미,애호박,야생화 등 덩굴식물의 재배시설을 갖추면, 그늘과 열매를 감상하는 넉넉한 행복감에 젖어 심신의 건강과 주민의 화합을 도모할수 있을 것이다.
글쓴이:웰빙하우징(주)김 청기
[이 게시물은 웰빙하우징님에 의해 2009-09-02 16:43:13 자료실에서 이동 됨]